top of page
검색

베트남 거주시 필요한 각종 서류 및 증명서


안녕하세요 오늘은 베트남에 거주하면서 꼭 필요하거나

있으면 유용한 각종 서류 및 증명서 발급 방법 절차와

비용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비자

현재 베트남 입국 무비자 규정은 15일이며

추후 30일까지 늘어날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각종 비자가 있는데 알아보도록 합시다.👍






1-1 여행비자[E-Visa]

보통 여행비자로 현지에 체류하며 추후 타 비자로 전환을 많이 하는

가장 일반적인 비자입니다.

코로나 팬데믹 전에는 1개월, 3개월이 있었습니다

***현재는 1개월 비자만 가능[2022년 9월기준]


***e-visa 신청 사이트

https://evisa.xuatnhapcanh.gov.vn/web/guest/khai-thi-thuc-dien-tu/cap-thi-thuc-dien-tu


한국 대행 업체가 많습니다.

비용은 직접 신청시 25불, 업체에 맡길시 50~100불 정도 합니다 🎁






1-2 상용비자

베트남에서 업무나 사업 관련을 위해 노동비자를 받아야 하는데

그 노동비자 발급을 위해 필요한 비자입니다.👏


예를 들어 여행비자 입국후 바로 노동비자 발급은 불가하며

반드시 여행비자 -> 상용비자로 비자 변경후 노동비자 발급이 가능합니다.


**베트남내에서 비자 변경 하려면 출국[비자 클리어] 해야함


상용비자의 발급 요건은, 베트남 사업자 투자자 증빙 관련 서류가 있거나

유학생의 경우 유학 생활이 끝나 취업을 위한 증빙서류가 있을시

바로 전환이 가능하지만

대다수의 경우 번거로운 절차 때문에 비자 클리어의 방식으로 전환합니다.🙌



- 비자클리어

비자 클리어란 외국에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면서

비자를 여행비자에서 상용비자로 바꿔서 재입국하는 방식을 일컫습니다.


보통 남부 호치민에서는 가장 가까운 국경인 캄보디아 국경인

목바이에 방문하여 캄보디아 입국후 바로 다시 나와서

새로운 비자를 다시 받아 베트남으로 돌아오는 방식을 선호하며, 👏


하노이에서는 비행기로 타 나라로 입국하여 비자 클리어를 진행합니다.

보통 대행업체가 이 일을 진행하며, 대행업체에서 서류만 발급할시

직접 비자클리어를 할 수도 있는데, 호치민에서 목바이 국경에 도착하면

그 현지쪽에서 직접 캄보디아 국경소까지 함께 이동해주며

서류 작성까지 도와주는 대행꾼들이 많이 있는데

거기서 서비스 대행 가격을 협의 보고 대행인이 시키는데로

진행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


비용은 100불~150불 정도 수준이지만 이동하는 교통비등을 감안하면

더 넉넉하게 예산을 잡는것이 좋습니다.




1-3 유학비자

베트남으로 유학을 오게 되면 하노이나 호치민 인문사회과학대,

혹은 사범대에서 발급해주는 비자인데


대학생의 경우 발급이 쉽지만, ✔

대학생이 아니라 일반 랭귀지 스쿨 진행 단기 유학생의 경우

학교측에 6개월치의 학비를 선금으로 납부하면

이 유학비자를 발급해 줍니다.


가격은 여행비자에 비해 조금 저렴하고

한번에 6개월 이상의 비자가 발급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1-4 결혼비자

베트남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현지인과 혼인시 발급이 되는 비자의 종류입니다.

5년 비자[비자면제사증]을 발급 할 수 있고, 3년 비자[거주증카드] 👏


**면제 사증은 6개월에 1회 무조건 출국후 재입국 해야함

**들리는 소문으로는 현재 3년비자[거주증] 대신에 1년 밖에 안 준다고 합니다


현지인과 혼인이 필요한 각종 서류는 번거롭지만

일반 결혼비자 발급은 번거롭지 않습니다.🎁




1-5 노동비자

대다수의 베트남에 상주하는 외국인

장기거주자들은 보통 이 노동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


노동비자의 발급 요건은 상용비자 발급자가 먼저 노동 허가서를 발급 받고

노동 허가서 발급 완료후 노동비자[거주증카드]가 나오게 됩니다.